본문 바로가기
정보

데 대 구분 맞춤법 차이점 쉽게 구별하자

by △zㅣ존용z▼ 2022. 5. 9.

데 대 구분 맞춤법 차이점을 쉽게 구별해보겠습니다.

일상 속에서는 그냥 말하는 단어들이지만

카톡이나 메신저를 사용할 땐 맞춤법을 맞춰줘야

상대방도 당황하지 않고 신경 쓰지 않겠죠??

 

데-대-구분-맞춤법-썸네일

 

보통 '데' '대' 차이점을 모르고 쓰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.

하지만 뜻에는 확실한 차이점이 있어서 맞춤법에 신경 쓰신다면 한 번쯤은 자세히 외우고

평생 쓰는 말이기에 잊지 않는 게 중요한 거 같습니다.

 

'대' '데' 맞춤법 구분 예시

 

o 지원이 이쁘

-'지원이 이쁘다고 해'라고 남이 말한 것

 

o 학교 수업이 재미있

-'학교 수업 재미있다고 해'라고 남이 말한 것

 

o 지원이 이쁘

-'지원이 이쁘더라'라고 자신이 보고 느낀 걸 말한 것

 

o 학교 수업 재미있

-'학교 수업 재미있더라'라고 자신이 보고 느낀 걸 말한 것

 

위의 예시들을 보면 어느 정도 대, 데 차이점 아시겠나요?

밑에 데, 대 맞춤법 구분 방법을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.

 

'데' '대' 맞춤법 구분

대-데-구분-차이-맞춤법

-데 : '~다고 해'의 줄임말입니다.

남이 말한 것을 듣고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입니다.

 

-대 : '~더라'의 줄임말입니다.

내가 직접 경험한 것을 말할 때 쓰입니다.

 

쉽게 생각하면 나를 기준으로 외우시면 됩니다.

 

다른 사람의 이야기면(간접) - '데'

 

내가 직접 겪은 이야기면(직접) - '대'

 

라고 쉽게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.

 


결국 자신이 겪고 느낀 것을 말하는 게 '데'

남이 말한 것을 내가 듣고 얘기하는 게 '대'

 

이렇게 생각하시면 데 대 맞춤법 구분하실 때 더 이상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.

데, 대 차이점이 금방 눈에 띄니까 맞춤법 틀릴 걱정은 안 하셔도 될 거 같네요.

 

 

반응형

댓글